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더오름
- 리눅스
- 백준1312
- 리눅스퍼미션
- 네트워크기초
- 네트워크핵심정리
- 제주코딩베이스캠프
- 파이썬
- 네트워크정리
- 컴퓨터네트워크
- 코딩테스트
- 코테
- 위니브
- 백준
- 개발자
- 네트워크
- 백준2587
- Python
- 디렉토리관리
- 리눅스셸명령어
- 리눅스기초
- 파일명령어
- 자료구조
- 링크명령어
- 터미널명령어
- 코테준비
- Linux
- 네트워크면접
- 제주ICT
- javascript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정리 (5)
hyei-devlog

데이터링크 계층 개요프레이밍: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고 경계를 구분오류 검출: 전송 중 발생한 오류 탐지 (체크섬, CRC 등 사용)흐름 제어: 송수신 속도 차이 조절로 데이터 유실 방지매체 접근 제어(MAC): 공유 매체에서 충돌 없이 통신하도록 제어주소 지정: MAC 주소를 사용해 장비 식별CSMA/CD - 유선 환경에서의 충돌 감지 방식CSMA/CD는 유선 LAN, 특히 초기 이더넷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충돌 제어 방식이다.말 그대로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감지(Carrier Sense)하고, 여러 장치가 함께 접근(Multiple Access)하며, 충돌이 일어나면 감지 후(Collision Detection) 다시 시도" 하는 구조. 1. CS(Carrier Sense): 데이터를 보내기 전..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이란?물리 계층은 OSI 7계층 중 가장 하위에 위치한 계층으로,데이터를 비트 단위(0과1)로 처리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나 광 신호 등 물리적인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물리 계층에서는 주소나 식별자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아, 누가 누구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지 구분할 수 없다. 단순히 신호를 받아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음 노드로 전달만 한다. 그래서 물리 계층은 실제 전송 매체와 밀접하며, 케이블, 커넥터, 전압, 주파수 등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주요 구성 요소이다. 주소라는 개념이 없다 → 누군가를 특정할 수 없다, 구별할 수 없다.들어온 신호를 연결된 노드로 보내주기만 한다. 받은 신호를 옆에 넘겨준다. 물리 계층 주요 장비리피터(Repeater)신호..

프로토콜(Protocol)이란?컴퓨터 및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해 정의된 하나의 규칙 또는 약속ex) "우리 영어 사용하자!"프로토콜역할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웹페이지)를 주고받는 규칙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순서에 맞게 전달하는 규칙IP (Internet Protocol)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주소 지정과 경로 설정 규칙OSI 7계층 모델 (OSI 7 Layer)OSI 모델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만든 개념 모델이다.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프로토콜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유용하여 ..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조)토폴로지특징장점단점버스형모든 장치가 하나의 선로(버스)에 연결됨설치 쉬움한 지점 문제 시 전체 영향링형장치들이 원형으로 연결, 토큰 사용충돌 없음한 노드 고장 시 전체 중단스타형중앙 허브에 모든 장치가 연결고장 감지 쉬움중앙 장비 고장 시 전체 마비트리형스타형을 계층 구조로 연결확장·관리 용이중앙 장치에 부하 집중(병목 현상)메쉬형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 (일부 또는 전체)안정성 높음연결 수 많을수록 비용 증가 네트워크 통신 방식1. 유니캐스트(Unicast)하나의 송신자(Sender)가 하나의 수신자(Receiver)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1:1)가장 일반적인 통신 방식네트워크의 대역폭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편지를 한 사람에게만 보내는 것,택배를 특정 한 사람 집 주소로 ..

네트워크란?‘Network(네트워크)’는 말 그대로 NET(그물)처럼 여러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컴퓨터, 스마트폰, 프린터 같은 컴퓨팅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네트워크라고 한다. 노드(Node)란?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컴퓨터, 라우터, 공유기, 프린터, NAS 등 모든 통신 장비들이 포함된다.즉,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는 장치 = 노드. 근거리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LAN은 좁은 지역(예: 집, 학교, 회사 등) 안에서 기기들을 연결한 네트워크예: 집에서 노트북, 스마트폰, TV가 공유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광역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WAN은 도시나 국가, 대륙처럼 넓은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