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ei-devlog

[네트워크] LAN과 WAN 정리! 공유기는 무슨 역할을 할까? 본문

Computer Science/Network

[네트워크] LAN과 WAN 정리! 공유기는 무슨 역할을 할까?

winter126 2025. 6. 17. 17:21

네트워크란?

‘Network(네트워크)’는 말 그대로 NET(그물)처럼 여러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
컴퓨터, 스마트폰, 프린터 같은 컴퓨팅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네트워크라고 한다.
 

노드(Node)란?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
컴퓨터, 라우터, 공유기, 프린터, NAS 등 모든 통신 장비들이 포함된다.
즉,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는 장치 = 노드.


 

근거리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

LAN은 좁은 지역(예: 집, 학교, 회사 등) 안에서 기기들을 연결한 네트워크
예: 집에서 노트북, 스마트폰, TV가 공유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광역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

WAN은 도시나 국가, 대륙처럼 넓은 범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예: 우리 집에서 구글 서버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인터넷 전체
 

LAN vs WAN


Q. LAN과 WAN을 구분하는 거리 기준은 무엇일까?

LAN과 WAN은 네트워크 범위에 따라 구분되지만, 정확히 몇 km 이상이면 WAN이다 같은 엄격한 거리 기준은 없다.

다만 일반적인 구분 기준은 아래와 같다.

 

📌 LAN과 WAN의 거리 범위

구분 설명 일반적 거리 범위
LAN (Local Area Network) 한 건물, 한 층, 한 캠퍼스 등 좁은 지역 내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수 m ~ 수 km (보통 1~10km 이내)
WAN (Wide Area Network) 도시, 국가, 대륙 간을 연결하는 광역 네트워크 수십 km ~ 수천 km 이상 (국제망 포함)

 

📌 예시

LAN → 자체 스위치·라우터 기반 연결

회사 내부, 학교 캠퍼스, 집 안 와이파이 등

 

WAN → 전용선, 통신사망(MPLS, VPN), 인터넷 백본 이용

서울 본사 ↔ 부산 지사 간 네트워크 연결

 
참고) 중간 영역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도시 수준 네트워크 (예: 지자체 공공망, 대학교 네트워크)

보통 수 km ~ 수십 km

LAN과 WAN의 중간 영역

 

10km 이내라면 대부분 LAN
수십 km 이상 떨어진 지역을 연결하면 WAN

 

서울과 대전, 서울과 부산을 연결한다면 WAN이고,
건물 내나 같은 캠퍼스 간 연결은 LAN이다!

 

LAN과 WAN (출처: wikipedia)


Q. 왜 공유기를 사용할까?

공유기는 LAN을 구성하고 연결하는 핵심 장비이다.
 

📌 공유기의 역할 (LAN 관점에서)

1. LAN 내부 장비 연결

공유기는 유선(랜선) 또는 무선(Wi-Fi) 방식으로 컴퓨터, 스마트폰, TV, 프린터 등 여러 기기를 연결

이로써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LAN) 안에서 기기 간 통신이 가능

예: 집에서 노트북으로 NAS(저장장치)에 접근

 
2. IP 주소 분배 (DHCP 서버 기능)

LAN에 연결된 각 기기에 고유한 사설 IP 주소(예: 192.168.0.X)를 자동으로 할당

이 주소를 통해 LAN 내 장비들이 서로 식별하고 통신할 수 있다.

 
3. NAT 수행으로 LAN → 외부 인터넷 연결

LAN은 내부망이고, 직접 인터넷에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공유기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통해 → LAN에 있는 기기들이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통해 외부와 통신 가능

LAN 내부 사설 IP ↔ 공인 IP 변환

 
4. LAN 내 통신 허브 역할

공유기는 라우팅 기능도 수행하므로, LAN 내 각 기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관리

예: 노트북에서 집 프린터로 파일을 보낼 때, 공유기가 중간에서 경로를 잡아줌

 

 

💡 LAN 환경에서 공유기를 왜 쓰는가?

"기기 여러 대를 연결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내부에서 통신하거나 인터넷을 공유하기 위해"
즉, 공유기는 LAN을 구성하고 동작시키는 중심 장비

 

공유기는 LAN 내부의 모든 기기를 연결하고, IP를 나눠주며, 로컬 통신과 인터넷 접속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장비다.

Q. NAS와 Wi-Fi의 관계는?

NAS는 보통 공유기(LAN)에 연결된다.
Wi-Fi는 NAS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수단이다.
 
예: 스마트폰이 NAS에 저장된 사진을 Wi-Fi 통해 접근해서 확인 가능
 

NAS: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저장소
Wi-Fi: 인터넷/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하는 통신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