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링크명령어
- javascript
- 백준
- 리눅스퍼미션
- 네트워크정리
- 백준2587
- 컴퓨터네트워크
- 코테
- Linux
- 네트워크기초
- 코테준비
- 파이썬
- 네트워크
- 제주ICT
- 디렉토리관리
- 위니브
- 백준1312
- 더오름
- 코딩테스트
- 네트워크면접
- 리눅스
- 자료구조
- Python
- 리눅스기초
- 리눅스셸명령어
- 제주코딩베이스캠프
- 파일명령어
- 네트워크핵심정리
- 개발자
- 터미널명령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7)
hyei-devlog

vi 편집기 사용법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기본 편집기이다.터미널 기반 텍스트 편집기이며, vim으로도 불린다. vi 편집기 실행 및 종료vi example.txt 종료 명령어명령어설명:q!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wq저장 후 종료:w filename다른 이름으로 저장 wq!는 권장되지 않는다. 권한 체크 없이 덮어쓰기 때문에 실수할 수 있다. 입력과 명령 모드모드 전환설명i입력 모드로 전환ESC명령 모드로 전환:하단에 명령어 입력 가능 검색 및 치환/hello # 'hello'라는 단어를 아래로 검색?hello # 위 방향으로 검색n / N # 다음 / 이전 결과로 이동:%s/old/new/g # 전체 파일에서 old → new로 변경:%s/old/new/gc ..

grepgrep은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이나 패턴을 찾아주는 명령어이다. 텍스트 검색의 기본. 텍스트 파일, 포그 파일 분석 등에 자주 쓰인다.grep [옵션] '패턴' 파일명 ✅ 자주 쓰이는 grep 옵션옵션설명-i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v해당 문자열이 포함되지 않은 줄 출력-n줄 번호와 함께 출력-c매칭된 줄 수 출력-l매칭된 파일 이름만 출력-w정확히 일치하는 단어만 검색 (부분 문자열 제외) 📌 사용 예시grep 'sshd' /etc/passwd # 'sshd'가 포함된 줄 찾기grep -i 'nologin' /etc/passwd # 대소문자 무시하고 'nologin' 검색grep -v '/bash' /etc/passwd # '/bash'가 없..

중요한 디렉토리bin (ls, cat 등)etc (시스템 설정 파일)home (일반 사용자 디렉토리)tmp (임시파일 저장, 재부팅하면 내용 삭제) 주요 디렉토리디렉토리설명/bin기본 명령어(ls, cat 등)가 저장된 디렉토리/etc시스템 설정 파일이 위치 (ex. 네트워크, 방화벽 등)/home일반 사용자들의 홈 디렉토리/tmp임시 파일 저장소 (재부팅 시 삭제됨)/root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var/log로그 파일 저장소/usr사용자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저장 경로/dev장치 파일 (하드디스크, USB 등)/proc시스템 정보가 담긴 가상 파일 시스템 파일 및 디렉토리 확인 명령어명령어설명ls -a숨김 파일 포함 목록 보기ls -l상세 정보 보기 (권한, 소유자, 크기 등)ls -F파일 종류..

리누스 토르발스 (Linus Torvalds)리눅스 운영체제 커널의 창시자1991년, 대학생 시절 개인 프로젝트로 리눅스 커널을 개발한 천재 프로그래머이다. "I’m doing a (free) operating system... just a hobby, won’t be big and professional like GNU."→ 지금은 전 세계 서버, 스마트폰(Android), 슈퍼컴퓨터 대부분이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 2005년, 리눅스 커널 개발 과정에서 버전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it도 직접 개발했다.우리가 사용하는 GitHub도, 바로 그가 만든 Git을 기반으로 한다. 리눅스와 Git, 현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생태계의 기반을 만든 인물이다. Red Hat 계열 리눅스R..

데이터링크 계층 개요프레이밍: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나누고 경계를 구분오류 검출: 전송 중 발생한 오류 탐지 (체크섬, CRC 등 사용)흐름 제어: 송수신 속도 차이 조절로 데이터 유실 방지매체 접근 제어(MAC): 공유 매체에서 충돌 없이 통신하도록 제어주소 지정: MAC 주소를 사용해 장비 식별CSMA/CD - 유선 환경에서의 충돌 감지 방식CSMA/CD는 유선 LAN, 특히 초기 이더넷에서 많이 사용되었던 충돌 제어 방식이다.말 그대로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감지(Carrier Sense)하고, 여러 장치가 함께 접근(Multiple Access)하며, 충돌이 일어나면 감지 후(Collision Detection) 다시 시도" 하는 구조. 1. CS(Carrier Sense): 데이터를 보내기 전..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이란?물리 계층은 OSI 7계층 중 가장 하위에 위치한 계층으로,데이터를 비트 단위(0과1)로 처리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나 광 신호 등 물리적인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물리 계층에서는 주소나 식별자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아, 누가 누구에게 데이터를 보내는 지 구분할 수 없다. 단순히 신호를 받아서 물리적으로 연결된 다음 노드로 전달만 한다. 그래서 물리 계층은 실제 전송 매체와 밀접하며, 케이블, 커넥터, 전압, 주파수 등 하드웨어적인 요소가 주요 구성 요소이다. 주소라는 개념이 없다 → 누군가를 특정할 수 없다, 구별할 수 없다.들어온 신호를 연결된 노드로 보내주기만 한다. 받은 신호를 옆에 넘겨준다. 물리 계층 주요 장비리피터(Repeater)신호..

프로토콜(Protocol)이란?컴퓨터 및 네트워크 간 통신을 위해 정의된 하나의 규칙 또는 약속ex) "우리 영어 사용하자!"프로토콜역할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웹페이지)를 주고받는 규칙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순서에 맞게 전달하는 규칙IP (Internet Protocol)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주소 지정과 경로 설정 규칙OSI 7계층 모델 (OSI 7 Layer)OSI 모델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만든 개념 모델이다. 실제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프로토콜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유용하여 ..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조)토폴로지특징장점단점버스형모든 장치가 하나의 선로(버스)에 연결됨설치 쉬움한 지점 문제 시 전체 영향링형장치들이 원형으로 연결, 토큰 사용충돌 없음한 노드 고장 시 전체 중단스타형중앙 허브에 모든 장치가 연결고장 감지 쉬움중앙 장비 고장 시 전체 마비트리형스타형을 계층 구조로 연결확장·관리 용이중앙 장치에 부하 집중(병목 현상)메쉬형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 (일부 또는 전체)안정성 높음연결 수 많을수록 비용 증가 네트워크 통신 방식1. 유니캐스트(Unicast)하나의 송신자(Sender)가 하나의 수신자(Receiver)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1:1)가장 일반적인 통신 방식네트워크의 대역폭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편지를 한 사람에게만 보내는 것,택배를 특정 한 사람 집 주소로 ..

네트워크란?‘Network(네트워크)’는 말 그대로 NET(그물)처럼 여러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컴퓨터, 스마트폰, 프린터 같은 컴퓨팅 장치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네트워크라고 한다. 노드(Node)란?네트워크에 연결된 각각의 장치.컴퓨터, 라우터, 공유기, 프린터, NAS 등 모든 통신 장비들이 포함된다.즉,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는 장치 = 노드. 근거리 네트워크 LAN (Local Area Network)LAN은 좁은 지역(예: 집, 학교, 회사 등) 안에서 기기들을 연결한 네트워크예: 집에서 노트북, 스마트폰, TV가 공유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광역 네트워크 WAN (Wide Area Network)WAN은 도시나 국가, 대륙처럼 넓은 범위..

트리(Tree)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 비선형 자료구조다. 루트 노드(Root Node)에서 시작해 여러 개의 하위 노드(Child Node)로 확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트리는 데이터 탐색, 계층적 관계 표현 등에 많이 사용되며, 이진 트리(Binary Tree)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트리의 기본 개념트리는 여러 개의 노드(Node)로 구성되며, 각 노드는 부모-자식 관계를 가진다. 그래프의 일종이지만, 순환(Cycle)이 없는 구조라는 점이 다르다. 트리의 주요 용어노드(Node): 트리의 기본 구성 요소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위루트 노드(Root Node): 트리의 최상단에 위치한 노드부모 노드(Parent Node): 어떤 노드를 포함하는 상위 노드자식 노드(Child Node): 특정..